2023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개인적으로 상위권 수험생들을 제외하고,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단국대", 소위 "국숭세단" 라인을 지원하는 것은 정말 신중하고 전략적인 선택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단국대는 편입영어, 편입수학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는 편이며 모집 인원도 다수입니다. 사실상, 해당 라인에서 숭실대를 제외하고는 모집 인원이 적은 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고, 상위-하위 대학에서의 모집 인원도 적당한 편이므로 "추가 합격자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가 충족되는 라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단국대의 경우는 "가장 추가 합격자가 많이 발생하는 대학"인데, 상위-동일 수준의 대학의 모집 인원에 따라 추가 합격자-합격 점수대가 많이 영향을 받는 편입니다.
(물론, 이는 통상적인 사례이며 일부 모집 연도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단국대 편입 원서 접수를 진행할 때는 "국민대-세종대의 모집인원, 건국대-동국대-홍익대의 모집인원, 아주대-인하대-명지대(자연)의 모집인원 등"을 고려하여 지원하는 학과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수의 수험생이 모집되는 계열-전공에서의 합격자가 다수 발생할 수 있으며, 경기도-죽전에 위치한다는 특성에 따라서 수험생들의 통학 시간을 고려해 최종 결정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2023.07.30 - [편입영어 기출문제/2022학년도 기출문제] - 2022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2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2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단국대학교는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에서 유일하게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입니다. 편입영어와 편입수학을 반영하여 수험생을 선발하는 대학이
utws.tistory.com
2023.08.11 - [편입영어 기출문제/2021학년도 기출문제] - 2021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1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1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단국대 편입영어는 공교롭게도 바로 직전에 다루었던 국민대 편입영어의 유형과 스타일이 매우 흡사한 시험 입니다. 적절한 표현일지 모르겠으
utws.tistory.com
2023.10.11 - [편입영어 기출문제/2019학년도 기출문제] - 2019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9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9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단국대는 현실적으로 중-하위권 수험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대학 입니다. 편입학은 정시와 다르게 "무제한 복수 지원" 이 가능하다는 속성이 있으
utws.tistory.com
2023.10.26 - [편입영어 기출문제/과년도 기출문제] - 2018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8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8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편입은 "추가 합격이 꽃이다." 라는 말씀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원서 지원에 제한이 없기에 상대적으로 정시, 수시에 비해서 다수의 합격
utws.tistory.com
너무 복잡하게 설명한 듯 하지만, 단국대 편입 원서 전략에서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국민대-세종대의 모집인원"을 살펴보고, 동일-유사 계열의 학과로 지원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수험생들은 "A대학-B대학의 지원 계열" 이 유사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경기도권에 위치한다는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수험생들이 "인-서울권 대학에 진학하는 선호도"가 더 높기 때문에 "다수의 모집인원을 선발하는 계열로 지원" 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것입니다.
2023학년도 단국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단국대 편입영어는 총 40개의 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60분이 부여됩니다.
- 시험 시간 : 40문항, 60분
- 유사 대학 : 인하대 (독해 위주의 출제)
- 특징 : 논리 영역 미 출제
단국대 편입영어는 "논리 영역이 출제되지 않는다."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수험생들의 전반적인 합격 점수대가 높게 형성되는 편이며, 독해 영역에서의 변별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수험생들의 점수 격차가 상당히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초 합격자와 최종 합격자의 점수 격차가 크다는 것은 "추가 합격자가 다수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인문계열-자연계열 수험생들은 모두 "50점 이상의 점수" 만을 확보하겠다는 1차적인 목표를 가지고 기출문제를 풀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나, 단국대 편입을 준비하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의 경우는 편입수학도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되므로 "편입영어의 점수에 따라서 합격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편입영어-편입수학 모두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된다는 것은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일정한 수준의 수학 실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분석했을 때, "편입영어 점수 격차"가 합격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수험생들의 점수 편차가 적다는 점에 따라 "본인이 확보할 수 있는 점수는 최대한 확보" 하는 방향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편입영어 기출문제 > 2023학년도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가천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13 |
---|---|
2023학년도 경희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12 |
2023학년도 한국항공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12 |
2023학년도 숙명여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12 |
2023학년도 이화여대 편입영어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