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서울과기대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을 모집하며, 수험생들의 지원률도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닙니다. 수험생들이 전형 상에서의 부담감을 느끼기 때문인데, 특히나 "전공 면접" 전형이 지원을 하지 않는 이유가 됩니다. 하지만 "면접 전형"을 시행하는 대학들은 수험생들의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므로 비교적 쉽게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서울과기대 편입수학은 자연계열의 대부분 전공에서 반영하며, 공인영어 성적과 면접고사도 반영하여 최종 합격생을 선발합니다. 전형 자체가 상위권 대학에 준하는 수준으로 진행되므로 수험생들이 준비해야 할 것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보일 수 있습니다.
2023.09.18 - [편입수학 기출문제/2022학년도 기출문제] - 2022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2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2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서울과기대는 편입학에서 최초 목표로 설정되는 대학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수험생들이 "면접 전형 준비"에 대한 부담을 제외하면 충분히
utws.tistory.com
2023.09.03 - [편입수학 기출문제/2021학년도 기출문제] - 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서울과기대는 자연계열을 학습하는 수험생들에게 정시, 수시, 편입에서 모두 선호도가 높은 대학입니다. 한국항공대, 서울과기대, 포항공대,
utws.tistory.com
2023.07.10 - [편입수학 기출문제/2020학년도 기출문제] - 2020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0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20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여러분들이 편입 준비를 한창 하다보면, 국립대 편입에 대해서 한 번 쯤은 관심을 갖게됩니다. 대부분 공인영어 성적과 전공 시험으로 수험
utws.tistory.com
2023.11.27 - [편입수학 기출문제/2019학년도 기출문제] - 2019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9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2019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서울과기대는 편입학에서 조금 독특한 전형으로 수험생을 선발합니다. 일반-학사편입학의 구분이 없고, "편입학" 이라는 큰 제도 안에서 수
utws.tistory.com
하지만, 지원자-합격생들의 통계치를 살펴보면 토익 점수는 약 600점 대 ~ 700점 대면 충분히 합격이 가능하며, 500점 대의 점수도로 합격한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아울러, 전공 면접의 경우도 타 대학-고등학교 수시 전형의 문항들을 차용하여 진행되는 경우가 다수이므로 전적대 전공 간의 유사성 등이 있는 수험생들이라면 충분히 학부에서 학습했던 내용들로 대비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서울과기대는 수험생들이 원서 상담 시에, "면접이 있으니까 지원을 하지 않겠다."라고 이미 지원 자체를 배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이러한 이유로 지원하지 않는 수험생이 다수 있다는 것은 "소수의 수험생들이 상대적으로 쉽게 합격할 수 있다."라는 것으로 재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경쟁자들이 염두에 두고 있지 않은 대학이며, 지원을 피하는 대학이므로 "면접고사의 대비만 성실하게 수행"한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23학년도 서울과기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서울과기대 편입수학은 총 20개의 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100분이 부여됩니다.
- 시험 시간 : 20문항, 100분
- 특징 : 시험 시간이 여유 있는 편이므로 정확한 풀이로 실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서울과기대 편입수학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우 여유 있는 시험 시간입니다. 100분이 부여되는 시험이며, 시험 문항이 20개로 적은 편이므로 수험생들이 "정확하고, 실수 없는 풀이"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험시간이 길고, 문항 수가 적다는 것은 "고난도 시험" 일 수 있으나, 서울과기대 편입수학은 상대적으로 매우 평이한 수준의 문항들이 출제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실수 없는 풀이"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울러, 1단계 합격 이후 진행되는 전공 면접의 경우 수험생들의 준비 정도가 매우 중요한데, 통상적으로 연세대-고려대-서울시립대-이화여대(심층-전공면접 진행)를 제외하고 면접고사가 진행되고 있는 대학의 경우는 "학부 과정-고등학교 과학 내에서의 문항"들을 주로 출제하며, 대학마다 면접 고사의 문항들이 대부분 동일-유사한 편입니다.
면접 직전에 시험 문항을 부여하고, 풀이하는 형태로 진행되거나 면접장에서 면접관의 질문에 즉답하는 형태로 시험이 진행됩니다. 화학-물리 계열의 계산 문항들을 제외하면, 약간의 암기가 필수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해당 암기 내용은 학부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초 개념을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면접고사는 필답고사 전형이 시행되는 시즌이 아닌 1월 12일 이후 (서울과기대 면접고사 : 1월 26일)에 진행되므로 편입시험과 중복되어 학습할 필요 없이, 필답고사가 대부분 종료된 이후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다는 점도 지원 시에 충분히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수험생들이 면접고사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내고, 서울과기대 등과 같이 필답고사 시즌 이후에 면접고사가 진행되는 대학이라면 편입영어, 편입수학 학습에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학습-대비가 가능하며, 이것은 충분히 다른 관점에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편입수학 기출문제 > 2023학년도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가톨릭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1) | 2023.12.27 |
---|---|
2023학년도 아주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0) | 2023.12.26 |
2023학년도 홍익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1) | 2023.12.21 |
2023학년도 인하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1) | 2023.12.21 |
2023학년도 세종대 편입수학 기출문제 학습하기 (1) | 2023.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