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편입학3 학점은행제 학사편입-상위권 편입생 계획서 수정 사례 학점은행제 학사편입을 준비할 때 고려해야 할 것 편입을 지원하려는 수험생들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은 "일반편입 vs 학사편입"에 대한 고민일 것입니다. 사실 수강생들마다 차이가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학사편입이 적극 권장되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일반편입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전공 : 60학점 이상 (전공 필수학점 포함)교양 : 30학점 이상합계 : 140학점 이상비고 : 일반-자유선택 학점은 충족 조건이 없으므로, 전공-교양 학점의 합계가 140학점을 초과하면 학사학위 조건 충족 사실 위 조건들만 충족하면 누구나 학위계획서 작성이 가능할 정도로 단순합니다. 편입에 대한 전문가, 학점은행제에 대한 전문가라고 이야기할 것들이 없고, 단순히 덧셈만 가능하다면 학위계획서는 쉽게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 2024. 4. 29. [가이드북 03] 일반편입 지원 자격 일반편입과 학사편입 구분 편입학은 대학의 3학년 과정으로 중도에 편입하게 되므로, 1학년으로 입학하는 신입학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신입학 : 고등학교 졸업 (수시, 정시 등으로 입학) 편입학 : 대학교 2학년 이상 수료 혹은 전문대 졸업 이와 같은 지원 자격이 신입학과 구분되며, 편입학 자체에서도 일반편입과 학사편입으로 구분되어 지원하게 됩니다. 사실 편입학을 처음 알아보는 수험생들은 이러한 편입학의 기본적인 전형의 구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 조금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일반편입과 학사편입은 모집 인원, 지원 자격 조건에 차이가 있습니다. 수험생들이 주목해야 하는 것은 본인의 최종 학력, 편입학 지원 시기 등을 고려하여 일반편입과 학사편입 중 어떠한 전.. 2024. 1. 27. [가이드북 02] 고졸 학점은행제 활용 방법 고졸 학점은행제 제도 이해 학점은행제는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대학 교육 과정을 모든 수험생과 수강생들이 이수하고 학위와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대학 교육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수시, 수능, 편입 등"과 같은 입시 제도를 통해 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학점은행제의 경우는 "평생교육법"에 근거하기 때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이라는 취지로 고졸자를 포함한 교육 약자들에게 온라인 및 오프라인 수업 이수, 자격증 취득, 독학사 시험 합격 등을 통해 학점을 이수하고 "대학 교육을 받아볼 수 있는 제도"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고졸 학점은행제는 "입시 시험"을 거치지 않은 학습자들이 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제도라고 정.. 2024. 1.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